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주휴수당 조건과 받는 법, 이렇게 알아두세요!

by 전국투어고고 2025. 1. 17.
반응형

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일정 기간을 일한 후, 그 주에 제공되는 유급 휴일을 의미합니다.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요, 오늘은 주휴수당이 무엇인지,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는지, 그리고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!

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

주휴수당 조건과 받는 법, 이렇게 알아두세요!
주휴수당-계산기

 

1. 주휴수당이란?
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일입니다. 즉, 근로자가 주어진 근무시간을 충족하면, 별도의 근로를 하지 않고도 유급으로 하루를 쉴 수 있는 날이 주어지며, 이때 임금을 지급받는 것이 주휴수당입니다.

예시로 주 40시간 일하는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포함해 한 주에 6일을 일하고, 1일은 유급으로 쉬게 되는 것이죠.

2.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

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해요.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답니다.

1)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한다

주휴수당을 받으려면, 일주일에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. 15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어요. 주 10시간 일하는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자격이 없는 것이죠.

2) 결근이 없어야 한다

주휴수당은 결근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근무한 경우에만 받을 수 있어요. 예를 들어,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, 결근 없이 일을 해야 합니다. 만약 무단 결근이 있거나 근무 시간에 결석이 발생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.

3)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시간을 충족해야 한다

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시간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해요. 근로계약서에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조건이 명시되어 있어야 하고, 이를 충족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답니다.

3. 주휴수당 계산 방법

주휴수당은 기본적으로 근로자가 받은 평균 일급과 동일한데요. 구체적인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.

1) 평균 일급 계산

주휴수당을 계산할 때, 기본적으로 주급을 7일로 나누어 하루 평균 급여를 계산합니다. 이 급여가 주휴수당으로 지급됩니다.

주급 100,000원이라면, 하루 평균 급여는 100,000원 ÷ 7 = 14,285원이 됩니다. 이 금액이 주휴수당으로 지급되는 금액입니다.

2) 근로시간 계산

근로시간이 정확히 15시간 이상일 경우에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주 20시간 일한 경우라면, 주휴수당은 20시간을 근무한 후 하루를 유급 휴일로 제공받고, 그에 대한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4. 주휴수당을 받지 못할 경우,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만약 근로자가 주휴수당을 받지 못했다면, 고용주와의 협의 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. 만약 고용주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면, 근로기준법을 위반한 것이므로 근로자는 근로감독관에 신고하거나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.

주휴수당 미지급 신고하기

5. 결론

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이므로,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이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.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근로계약서와 근로시간을 잘 확인하고, 결근 없이 근무해야 합니다.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았다면, 고용주와 협의하거나 법적 절차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니, 근로자 권리를 잘 챙겨주세요!

 

반응형